자존감의 정서지능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1. 자아존중감(=자존감) 이란 ?
자존감은 말그대로 자신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마음입니다.
[낮은 자존감의 예] “나를 깊게 알게 되면 실망할지 몰라.”
[높은 자존감의 예] “나는 남들보다 우월하기 때문에 언제나 존중받아야 해.” 또는 “나는 언제 어디서나 항상 최고야.”
2. 정서지능(=감성지능) 이란 ?
자신과 타인의 감정과 정서의 차이를 식별하며, 생각하고 행동하는 데 정서정보를 이용할 줄 아는 능력 입니다.
정서지능은 다른 사람과 효율적으로 상호작용을 하고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3. 사회성 이란 ?
적절한 방법으로 타인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유아기의 자아존중감은 미래의 삶과 목적달성을 위해 정서적 행복감을 추구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며 성공적이고 바람직한 자아상을 만들어 가는데 중요한 요인 이라고 합니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아이는 정서지능이 높으며 개인의 삶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는 가능성이 많음을 증명한다고 합니다. 그런 아이는 안정적이고 타인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할 뿐 아니라 사회적 활동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아이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아이의 자존감이 정서지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
아이의 자존감이 사회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이 높은아이 특징
-
자존감이 높을수록 자기 스스로의 가치를 높게 지각하여 남과 어울리기를 좋아하고 정서지능의 수준이 높아 활동적입니다. 또한 정서지능이 발달할수록 자신의 감정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타인의 감정을 잘 이해하고 반응하며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감정표현을 확실하게 하게된다.
-
스스로의 성취를 위해 노력하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포기하지 않는 능력을 가집니다.
-
타인의 감정에 대한 배려와 이해를 하며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하여 타인과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게 됩니다.
-
친구나 또래와의 올바른 관계 형성을 이루고, 학업성취 능력이 뛰어나며, 선행행동을 많이 합니다.
즉, 자아존중감이 높은 아이들은 다른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원만하고 유대적인 상호 작용을 형성하며 긍정적인 사회적 적응력을 가지고 있음에 반해서, 자아존중감이 낮은 아이들은 다른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수동적이며, 주도적이지 못하고, 거부적이며 자기 비하적 성향을 나타냅니다.
이와같이 자존감은 아이의 사회성이 발달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아이의 성장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최근에 저는 자아존중감 만큼이나 중요하게 생각되는게 바로 회복탄력성 인데요.
최근에 구입한 "유대인 엄마는 회복탄력성부터 키운다"라는 책을 읽고 회복탄력성에 관련된 글을 쓸 예정입니다!!ㅎㅎ
좋은정보는 많이 공유하겠습니다.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