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알뜰교통카드 사용법(한달 12,246원 아끼기!)
저처럼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이 있다면 꼭 사용했으면 해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하루 몇천원 사실 엄청나게 큰 돈은 아니지만 모두 아껴서 혜택받아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월 최대 28,600원 마일리지 적립
#한달 12,246원 절감
#교통비 최대 30% 할인
광역알뜰교통카드란?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하여 지급하고,
아울러 카드사의 추가할인 혜택을 포함하여 대중교통비를 최대 30%까지 절감할 수 있는 교통카드
교통비 절감을 위한 추가 혜택이 더욱 강화됩니다.
마일리지 제도를 다양한 정책, 제도 및 금융 상품 등과 연계하여 30%+α의 추가 혜택이 가능해 집니다.
4월 24일부터 7개시·군·구로 추가 확대되었으며 모든 주민이 이용 가능합니다
→서울 구로·중구, 충남 천안·아산, 전북 군산, 경남 통영·고성
광역알뜰교통카드 만드는 방법
광역알뜰교통카드 앱 설치(마일리지 적립)
+ 카드 발급(신한,우리,하나 → 아래 사진 참조)
마일리지 적립 방식
- 출발-승차 구간
- 승차 및 승차시간 정보를 카드사와 연계하여 제공받음
- 출발-승차 시간동안 GPS 위치정보, 가속도/자이로 센서 및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이동거리 측정
- 측정한 이동거리에 금액을 적용하여 마일리지 계산(250~450원/800m)
※하차-도착 구간 마일리지 지급 정책안(하차태그를 하지 않을 경우)
*하차태그를 하지 않을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하차-도착 구간
- 하차 및 승하차시간 정보를 카드사와 연계하여 제공받음
- 하차-도착 시간동안 GPS 위치정보, 가속도/자이로 센서 및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이동거리 측정
- 측정한 이동거리에 금액을 적용하여 마일리지 계산(250~450원/800m)
광역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
-
- 후불 및 체크카드
- 신용·체크카드 발급 (신한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택일) 후 일정횟수(15회) 이상 사용시 마일리지 적립
저소득 청년 지원
- 저소득 청년 지원 대상자는 관할 주민센터에서 발급받은 증빙서류를 이메일(ms_kim711@kotsa.or.kr)로 제출해주시기 바랍니다.
- 마일리지 적립 정보는 일반 사용자와 동일하게 표출되며 카드사 요금 청구시 추가 할인되어 청구됩니다.
※ 서류 접수 시 반드시 확인받을 연락처를 기재하여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구분 |
1회교통비 |
비고 | ||
2천원 이하 |
2천원~3천원 |
3천원 초과 | ||
일반 |
250원 |
350원 |
450원 |
이동거리 800m기준 |
저소득 청년 |
350원 |
500원 |
650원 |
'아하아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대차 3법 소급적용, 대응방안 (0) | 2020.07.23 |
---|---|
6.17 부동산대책, 조정대상지역과 투기과열지구 (0) | 2020.06.18 |
mbti 성격유형 (0) | 2020.06.01 |
엔진오일 교환비용 줄이는 방법 (1) | 2020.06.01 |
MBTI 성격유형 신뢰도 (0) | 2020.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