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하아하

광역알뜰교통카드 사용법 / 혜택

 

광역알뜰교통카드 사용법(한달 12,246원 아끼기!)

 

저처럼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이 있다면 꼭 사용했으면 해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하루 몇천원 사실 엄청나게 큰 돈은 아니지만 모두 아껴서 혜택받아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월 최대 28,600원 마일리지 적립

#한달 12,246원 절감

#교통비 최대 30% 할인

 

 

광역알뜰교통카드란?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하여 지급하고,
아울러 카드사의 추가할인 혜택을 포함하여 대중교통비를 최대 30%까지 절감할 수 있는 교통카드

 

 

 

교통비 절감을 위한 추가 혜택이 더욱 강화됩니다.

마일리지 제도를 다양한 정책, 제도 및 금융 상품 등과 연계하여 30%+α의 추가 혜택이 가능해 집니다.

 

4월 24일부터 7개시·군·구로 추가 확대되었으며 모든 주민이 이용 가능합니다

서울 구로·중구, 충남 천안·아산, 전북 군산, 경남 통영·고성

 

광역알뜰교통카드 만드는 방법

 

광역알뜰교통카드 앱 설치(마일리지 적립)

+ 카드 발급(신한,우리,하나 → 아래 사진 참조)

 

 

 

마일리지 적립 방식

  • 출발-승차 구간
  1. 승차 및 승차시간 정보를 카드사와 연계하여 제공받음
  2. 출발-승차 시간동안 GPS 위치정보, 가속도/자이로 센서 및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이동거리 측정
  3. 측정한 이동거리에 금액을 적용하여 마일리지 계산(250~450원/800m)

       ※하차-도착 구간 마일리지 지급 정책안(하차태그를 하지 않을 경우)

          *하차태그를 하지 않을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하차-도착 구간
  1. 하차 및 승하차시간 정보를 카드사와 연계하여 제공받음
  2. 하차-도착 시간동안 GPS 위치정보, 가속도/자이로 센서 및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이동거리 측정
  3. 측정한 이동거리에 금액을 적용하여 마일리지 계산(250~450원/800m)

 

광역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

  • 후불 및 체크카드
    신용·체크카드 발급 (신한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택일) 후 일정횟수(15회) 이상 사용시 마일리지 적립
* 사업대상 지역 거주민이 아닐 경우 마일리지 미지원
* 광역알뜰교통카드만 사용하고 마일리지 앱을 사용하지 않으면 마일리지를 지급하지 않음

 

 

저소득 청년 지원

 

- 저소득 청년 지원 대상자는 관할 주민센터에서 발급받은 증빙서류를 이메일(ms_kim711@kotsa.or.kr)로 제출해주시기 바랍니다.

- 마일리지 적립 정보는 일반 사용자와 동일하게 표출되며 카드사 요금 청구시 추가 할인되어 청구됩니다.

※ 서류 접수 시 반드시 확인받을 연락처를 기재하여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구분

 1회교통비

 비고

 2천원 이하

 2천원~3천원

3천원 초과 

 일반

 250원

 350원

 450원

이동거리

800m기준 

 저소득 청년

 350원

500원

650원